반응형
들어가기 전에
이 글은 WSL 혹은 Macbook 위에서 돌아갑니다.
터미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진행되니, 모르시는 분들은 따로 학습을 하시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https://velog.io/@dev_space/React-%EC%8B%9C%EC%9E%91%ED%95%98%EA%B8%B0
https://narup.tistory.com/183?category=1001170
위 두 링크를 참고해서 작성했습니다.
Node.js / yarn 설치
Node.js 설치
우선 Node.js 를 설치해주세요.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2.08.25 현재 기준으로 Node.js의 LTS 버전은 16.17.0입니다. LTS 버전을 추천드려요)
sudo apt-get install nodejs
노드 버전 변경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yarn 설치
패키지 매니저로는 yarn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yarn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do npm install --global yarn
Create-React-App 으로 새 프로젝트 시작하기
프로젝트를 열고 싶은 폴더로 이동해서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작성해주세요
# yarn create react-app {내 프로젝트명}
yarn create react-app myReact
( 설마 진짜 {내 프로젝트명} 을 그대로 적는 사람은 없겠죠?)
이후 프로젝트 폴더로 들어가
yarn start
명령어를 작성해주면 자동으로 사이트가 열리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28x90
'개발 > [시리즈] DRF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F / React] 장고 리액트 연동하기 - 6. 로그인, 회원가입 창 구현(Form) (0) | 2022.09.01 |
---|---|
[DRF / React] 장고 리액트 연동하기 - 5. 리액트 Components 와 Props (0) | 2022.08.30 |
[DRF / React] 장고 리액트 연동하기 - 4. 리액트 컴포넌트 이동 (0) | 2022.08.29 |
[DRF / React] 장고 리액트 연동하기 - 3. 리액트 개별 페이지 구현 (2) | 2022.08.27 |
[DRF / React] 장고 리액트 연동하기 - 1. 기초 개념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