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연구

[논문리뷰] SMEAR: Stylized Motion Exaggeration with ARt-direction

논문 링크: https://dl.acm.org/doi/pdf/10.1145/3641519.3657457요약전통적인 2D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사용되는 Smear Frames 라는 기법이 있습니다. 2D가 아닌 3D 상에서 이러한 효과를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던 모션 블러 혹은 스쿼시 앤 스트레치 기법들은 물리 시뮬레이션에 의존하거나 후처리 단계에서 이루어져서 아티스트가 직관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의 궤적에 따라 자동적으로 Smear Frames을 생성하면서도, 아티스트가 제어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합니다.세부 설명가이드라인저자들은 연구를 수행하기 전, 애니메이터들을 만나며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설립했습니다.스미어 프레임은 (1) 시각적 잔상을 남기고 (2) 관측자의..

연구

[논문리뷰] Text-to-Any-Skeleton Motion Generation Without Retargeting

논문 링크: Text-to-Any-Skeleton Motion Generation Without Retargeting 요약최근 Diffusion, LLM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Text-to-Motion 분야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기술들은 대부분 표준화된 스켈레톤(Standard Skeleton) 상에서만 동작한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만약 새로운 캐릭터 골격에 이 모션을 적용하려면 번거롭고 전문 지식이 필요한 리타게팅(Retargeting) 과정을 거쳐야만 했고 이는 초보자들에게 큰 진입 장벽이었습니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이러한 2단계(생성 → 리타게팅)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고자, OmniSkel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합니다. OmniSkel은 리타게팅 과정 없이, 텍스트..

연구

Gradient, Jacobian, Hessian, Laplacian의 정의와 기하학적 의미, 예시

여기저기 논문에서 나오는 개념에 대해서 한번 정리하고자 합니다.선형대수 수업을 들을때 이런 내용이 있었는지 기억이 안나서 열심히 공부해둘걸 후회중입니다.인공지능을 통해서 얻은 지식또한 존재하므로 틀린 부분은 지적 부탁드립니다 전체 요약 사실 저는 저기까지만 보면 그래서 저게 어디에 쓰이는데 라는 생각과 예시가 없다는 생각이 먼저 들어서 이해가 잘 안되곤 합니다. (공돌이의 숙명인걸까요)하나씩 자세히 뜯어보겠습니다 Gradient, 그래디언트, ∇f 스칼라 값 함수 f의 모든 편미분을 원소로 가지는 벡터입니다. 쉽게 말해서 함수 f의 입력 변수가 여러 개일 때, 각 변수에 대해서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 변화율(기울기)를 모아둔 벡터라고 보시면 됩니다.인공지능이 뜨면서 경사하강법, Gradient Desce..

개발/이슈 해결 모음

[디버깅 일지] HMR2.0 Pose Extraction 후 Skeleton Transform에 적용시 이상하게 나오던 이슈

연구중에 HMR2.0을 통해서 추정된 포즈를 기반으로 SMPL 캐릭터를 그릴 필요가 있었음 1차 고난HMR2.0을 사용하기로 한 리포가 텐서플로를 씀. 근데 텐서플로는 런타임중에 텐서를 뜯어보는게 쉽지 않네?breakpoint()를 걸면 여러번 호출되고, print 찍어봐도 텐서 이름이랑 쉐잎만 나오지 텐서가 안나옴. 방법을 찾다가 데모 구간에선 안전하게 확인 가능하길래 인퍼런스 살짝 뜯어 고쳐서 rot_mats 이랑 global joint positions 추출함도커로 이미지 구워놨는데 필요하신 분 댓글 달아주시면 허브에 올려서 전달드릴게요https://github.com/russoale/hmr2.0 GitHub - russoale/hmr2.0: End-to-end Recovery of Human Sh..

연구

[논문리뷰] DisCoRD: Discrete Tokens to Continuous Motion via Rectified Flow Decoding

https://arxiv.org/abs/2411.19527 DisCoRD: Discrete Tokens to Continuous Motion via Rectified Flow DecodingHuman motion is inherently continuous and dynamic, posing significant challenges for generative models. While discrete generation methods are widely used, they suffer from limited expressiveness and frame-wise noise artifacts. In contrast, continuous approarxiv.orghttps://github.com/whwjdqls..

일상

6주간의 대학원 인턴 생활 중간보고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대학원 인턴 생활을 시작했다.9월 22일부터 시작했는데 좀만 더 쉴걸 그랬나 사수분이랑 얘기한 연구주제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디폼된 캐릭터를 꺼내오는 것지금은 시간이 지나서 다이어그램으로 어느정도 정리해본 최적화 파이프라인.이걸 기반으로 이미지 - 디폼 캐릭터 Ground Truth 데이터셋을 만들어서 디폼된 캐릭터 생성 모델을 만드는게 최종 목표다.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내가 지금 어떤 일을 해야하는지 팀 단위로 목표가 있었고 구성원으로서 할 일을 챙겨갈 수 있었는데 대학원에 와서 인턴 생활을 하면서 처음 느꼈던 감정은 막막함..? 이였던 것 같다. 그래서 이제 뭘 해야하는거지? 이걸 하고 싶으면 이걸 공부하는게 맞는건가? 사실 학부때 인공지능 관련 수업들, 선형대수 수업들 어려워..

연구

[논문리뷰] Mean Value Coordinates for Closed Triangular Meshes

논문: Mean Value Coordinates for Closed Triangular Meshes저자: Tao Ju, Scott Schaefer, Joe Warren https://people.eecs.berkeley.edu/~jrs/meshpapers/meanvalue.pdf 대학원 인턴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연구 baseline에서 자주 사용되는 MVC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직접 구현해본 경험을 아래 작성해두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mesh는 본질적으로 vertex들의 집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많은 정보들 (위치, uv, ...)이 버텍스별로 할당되어 있고, 이 값들을 "확장" 혹은 "보간" 하는 것은 그래픽스에서 근본적이고, 중요한 목표입니다. 대표적으로 상단의 그림에..

개발

좋은 개발자란 무엇일까?

어렸을때부터 무언가를 만드는 것들을 좋아했다. 영상을 만들고 싶어 편집을 배웠고, 포스터를 만들고 싶어 포토샵을 배웠다. VR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 컴퓨터 관련 학과를 갔다. 만드는 것을 좋아했는지, 만들어 낸 것을 보여준 뒤 잘했다는 칭찬을 듣는게 좋았는지는 모르겠다. [만든다]는 건 결과만이 아닌 그 과정 또한 포함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과정은 그런 의미에서 또 하나의 작품이다. 고흐의 자화상이 그림만이 아닌 고흐의 인생이 있어 명화이기에 무언가를 만드는 건 곧 이야기를 쓰는 것과 같다. 만들기 위한 과정이 있어야 비로소 [만듦]이 완성되는 것이다. 작품이 [결] 이라면 그 과정이 [기승전] 인거지. 2018년 3월, 1학년 수업의 파이썬으로부터 6년이 지났다. 나는 7년차 개발자라 볼 수 있을까?..

개발/문제풀이

[카카오 2023 BLIND RECRUITMENT, Python] 이모티콘 할인행사 문제풀이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036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from itertools import product def solution(users, emoticons): register_user_count = 0 max_price = 0 discounts = product([10,20,30,40],repeat=len(emoticons)) # 모든 할인율 중복 조합 for discount in discounts: # 각 조합마다 산 유저 수 / 최대 판매..

개발/문제풀이

[BOJ 27211, Python] 도넛 행성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dx = [0,0,1,-1] dy = [1,-1,0,0] matrix = [] n,m = 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n): matrix.append(list(map(int,input().split()))) count = 0 def bfs(sx,sy): queue = deque() queue.append((sx,sy)) matrix[sy][sx] = 1 while queue: nx,n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tx,ty = nx+dx[i], ny+dy[i] if(tx == -1): tx = m - 1..

Junhyung-Choi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